바로크 음악

 

바로크 음악 Baroque Music

~~~~~~~~~~~~~~~~~~~~~~~

    서양 음악의 역사는 바로 기독교 찬송가의 역사이고 따라서 서양 음악은 교회음악의 발전과 동일선상에 있다. 많은 음악가들이 교회음악 발전에 헌신함에 따라 서양음악이 발전해온 것이다. AD 313년 "콘스탄티누스"대제에 의한 기독교 공인을 계기로 유대 예배음악이 발전한다. 이들 음악은 7~8세기에 걸쳐 교황 "그레고리우스I세와 II세"가 집대성하여 현재 약 3천여 곡이 전해지고 있다. 가톨릭 성당에서 고음의 성가대원이 반주 없이, 박자 없이 목소리를 길게 뽑아 부르는 독창곡(단성 음악)이 바로 그레고리 성가이다. 이 그레고리성가야 말로 바로 서양음악의 모태인 것이다. 이처럼 교회음악과의 불가분성은 "고전주의 (1750~ 1820)"에 이르러 대중의 취향을 의식하여 음악 형식이 바뀔 때까지 일관된 흐름이었다.

    바로크(Baroque, 1600-1750) 전야인 르네상스기(1450~1600)는 인류사에 있어서 도전과 대전환의 시대였고 이 시기에 인류는 자신의 내면을 깊숙이 성찰함으로서 하나님과의 관계, 자연과의 관계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인식은 결국 중세 이래의 가혹하고 요지부동이었던 여러 체제에 금이 가게 했고,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에 있어 불가피한 중재자로 여겨졌던 교회에 대해서도 의문을 품게 했다. 이러한 의문은 필연적으로 "루터"의 개혁을 가져왔고, 이는 바로 바로크 예술의 등장을 예고한 것이었다.

    르네상스 다음에 온 "바로크"예술은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간 세력 싸움 즉, 종교개혁과 30년전쟁의 결과이다. 이 두 번의 싸움을 통해 가톨릭 세력이 퇴조함으로써 가톨릭교회로부터 신도들이 떠나갔고, 따라서 바티칸은 위신과 위엄을 회복하여 떠나간 신도들을 다시 불러들여야 했다. 이를 위한 수단이 바로 미술과 음악이었다. 바로크는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프랑스 후기 바로크를 로코코'라고 한다 - 전기에는 미술이 후기에는 음악이 주된 역할을 한다.

    전기 바로크 기간에는 바티칸의 요구에 따라 표현범위, 정치성, 완벽성, 기교면에서 최고 수준의 미술품, 조각품들이 생산되었다.  아름다운 궁성을 모방한 교회건물, 아름다운 조각과 현란한 벽화, 금과 은으로 장식한 제단은 신도들에게 우월감과 승리감을 북돋아 주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바로크 스타일의 성당을 방문해본 이들은 그 화려한 내부 장식에 압도당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성이 마비되었던 그 시대, 대부분이 문맹이었던 사람들은 화려하고 웅대 무비한 교회 건물에 하나님이 임한다고 믿어 의심치 않았고 금박과 현란한 조각으로 장식된 제단을 하나님의 거소로 생각하여 두려움에 떨었다.

 

                                 

                                -갈릴리 호수의 폭풍우(렘브란트),  바로크 회화의
                                               특징인 또렸한 명암  대조를 볼 수 있다-

 

    후기 바로크는 30년전쟁(1618~1648) 다음이다. 종교의 이름으로 자행된 이 전쟁은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간의 야만적인 싸움이었다. 종교개혁으로 신교의 자유를 인정했던 "아우크스부르크(Augsburg)"체제를 깨고, 가톨릭이 프로테스탄트에 가한 최후의 물리적 공격이었다. 이 전쟁은 결국 가톨릭 세력의 패배로 끝났고, 스페인의 몰락은 이 전쟁 때문이다.

    전쟁 후 가톨릭은 세력 확장을 위해 음악을 동원한다. 미술과 건축에 적용했던 화려한 장식을 음악에도 반영하여 트릴 (trill)과 같은 장식음이 처음으로 등장한다. 장식음으로 멜로디를 더욱 현란하고 동적으로 만든 것이다. 또 그림에서의 명암은 음악에서는 음의 대조로 나타난다. 강한 멜로디 다음에 약한 멜로디, 고음 다음에 저음이, 빠른 악장 다음에 느린 악장이 오는 식이다. 또한 현란한 음악을 생산하기 위해 여러 형태의 음악 양식이 등장한다. 즉, 오페라, 소나타, 무용음악(Suite), 실내악, 협주곡 등의 출현이 그것이다. 협주곡은 다음 시대 고전주의에 이르러 교향곡의 모태가 되기도 한다. 음악은 프로테스탄트측도 중시하여, 이 때 등장한 바하의 칸타타나 헨델의 오라토리오는 프로테스탄트에게 봉사한 음악이다. 이 시대에는 많은 악기가 발명되기도 한다. 다양한 형태의 음악을 표현하는데 사람의 목소리로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즉, 악기가 사람의 목소리를 대신하게 된 것이다. 올갠, 하프시코드, 크라비코드 등 건반악기와 더불어 스트라디바리우스, 아마티, 과르넬리 등의 등장도 이 시대이다. 이처럼 새로운 형태의 음악을 새로이 등장한 악기로 연주하는 예배나 미사가 신, 구교를 막론하고 당시의 무지몽매한 신도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을 지는 미루어 짐작할 수가 있다. 문학에서도 미사여구로 꾸민 화려한 스타일의 문장이 등장한다. 스페인 작가 세르판테스, 로페 데 베가 등이 그 예이다.

    바로크 시대는 또한 뉴턴이나, 라이프니츠, 데카르트나 프란시스 베이컨 같은 불멸의 천재들에 의해 인류의 지성사에 혁명적인 변화가 온 시대이며, 계몽주의의 등장으로 하나님 중심의 중세적 우주관에서 완전히 벗어나 현대적 민주국가로 발전할 토대를 마련한 시기이기도 하다.

(C)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노트르담의 꼽추

앵무새 죽이기

영어 단어 내려다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