똘레도(Toledo)

 

 금융업의 기원

 

for More Readings;

www.beethovennote.com

 

    몇 년 전 금융자본의 횡포에 대한 미국시민들의 분노가 폭발하여 급기야는 반 월가 시위라는 집단행동을 불러왔고, 그 시위가 전 세계적으로 번져나갔음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세계 금융 산업은 유대 자본이 그 중심에 있으며, 세계 정치 및 경제를 쥐락펴락하는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 같은 거대 산업이 유대인들에게 돌아갈 수 있었던 역사적 배경은 무엇인가?

    유대인들이 포로로 잡혀갔던 바빌론의 유수(기원전 586년) 이후 시작된 유대인의 디아스포라는, 1948년 이스라엘이 건국하기까지 거의 2천5백년의 세월이 흐른다. 이 기간 동안 거의 대부분을 남의 땅에서 보낸 것이다. 1862년, 시온주의자인 “모세 헤스(Moses Hess, 1812 – 1875)가 처음으로, 고토로 돌아가자는 시온주의 운동에 불을 지핀다. 그리고 이 운동은 “드레퓌스 사건”으로 본격화 된다.

    1894년에 있었던 드레퓌스 사건은 프랑스 정부가, 유대계 프랑스 육군 대위 "알프레드 드레퓌스"에게 독일 제국의 간첩이라는 혐의를 뒤집어 씌워, 조작된 증거에 따라 반역죄로 기소한 사건이다. 그는 무혐으로 석방될 때까지 불령 가이아나에서 5년을 복역한다. 이 사건을 계기로 시온주의자들은 더욱, 예루살렘으로 돌아가야만 유랑지에서 일상적으로 겪는 학대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고 믿는다. 당시 프랑스의 자연주의 작가 “에밀 졸라”(1840- 1902)는 그의 소설 “나는 고발한다”에서 이 사건을 고발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서 유대인인 드레퓌스가 감히 프랑스 육군대위가 될 수가 있었던가?

    1789년의 프랑스 대혁명은 프랑스 국민을 절대군주의 폭압으로부터 해방을 시켰을 뿐만 아니라, 똘레도(Toledo) 종교회의 이래 1200여 년간 법적, 제도적으로 속박 당했던 유대인을 해방 시키는 계기가 된다. 즉 프랑스 혁명을 계기로 유대인들은 완전한 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자유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드레퓌스도 국가 공무원인 군인이 될 수가 있었던 것이다.

    똘레도는 스페인의 수도 마드리드 남쪽 76킬로 지점에 위치하는 중세의 도시이다. 이 도시를 방문하는 여행객은, 타임머신을 타고 중세로 돌아가는 듯한 경험을 한다. 그냥 옛 그대로이다. 여기서 AD 586년에 로만 가톨릭의 제3차 종교회의가 있었다. 이 종교회의에는 당시 스페인 반도를 지배하던 서고트 족(Visigoth)의 왕 “리카리드(Reccared, AD 559–601)”의 왕권이, 로마교황으로부터 승인 받느냐 하는 문제가 걸려 있었다. 승인이 없으면 교황의 파문권으로 인해, 세속의 왕권 유지가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아리우스(Arius, AD 256 – 336) 교리를 고집했던 리카리드는 결국 교황이 요구한, “아타나시우스(Athanasius, 296-298) 교리와 유대인에 대한 차별 조치” 를 받아들인다. 우리가 알고 있듯 아리우스 교리는, 예수의 신성을 부정하고 예수는 인간으로서 다만 초인일 뿐이라고 주장하는 것으로, 니케아 제1차 종교회의(AD 325)이래 교황청의 정통 교리인 아타나시우스 교리 즉, 삼위일체설을 부정한다. .

    똘레도 종교회의 역사적 의미는 바로 이 회의에서, 그 이후 기나긴 세월에 걸친 유대인에 대한 법적, 제도적 차별이 결정되었다는 점이다. 이 회의에서, “유대인의 공직 취임 금지, 토지 소유 금지 및 농업 금지, 상업 금지, 유대인과 크리스트 교도와의 결혼금지 등등...에 걸친 결정이 있었다. 말하자면 유대인의 사회적 활동 및 먹고 살 길을 완전히 막아 버린 것이다. 그리고 이 구속은 1,200년이 지난 프랑스 대혁명에 이르러서야 해제가 된다. 사실 이 이야기는 보다 길고 복잡한 이야기가 전제되어야 하지만, 여기서는 이 정도로 약술한다.

    이 같은 구속은, AD 711년 이슬람 군대가 스페인을 침략했을 때, 유대인들로 하여금 이 군대의 편에 들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고, 이슬람은 이에 대한 보답으로 유대인에 대해 관대한 정책을 편다. 이러한 정책 덕택으로, 8세기부터 11세기까지 유대인이 가장 성공적으로 정착한 곳은 이슬람 정복하의 스페인이었고, 이때부터 유대인들은 상인들로부터 예금을 받아 회교의 왕인 칼리프들을 상대로 대출을 한다. 이를테면 사업으로서의 금융업이 시작된 것이다. 은행업은 칼리프들에게 매우 편리했고, 따라서 그들은 유대 금융업을 후원하기도 했다.

    출애급기(22:25)는 이자를 금지하고 있다. 레위기에서도(25:36~37) ‘너희는 동족에게서 세나 이자를 받지 못한다’, 라고 말하고 있다. 이 같은 가르침으로 중세의 기독교 세계에서는 대금업을 천시, 죄악시 했던 것이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동족이 아닌, 이교도들로 부터는 이자를 받아도 된다고 보았다. 돈이 급한 동족에게 돈을 꾸어 주는 일은 박애정신에 입각해야 하지만, 모르는 사람이나 돌볼 필요가 없는 사람에게는 그럴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기독교가 천시한 대금업은, 이방의 땅에서 달리 먹고 살 길이 없던 유대인들에게 매우 중요한 생존 수단이 되었던 것이다. 그러니까 금융업은, 톨레도 종교회의 이후 유대인들이 지켜온 긴 역사를 가진, 그들의 존속을 가능케 했던, 그들로서는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사업인 것이다. (C)

 

                                                              - 똘레도 유대인 구역 -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노트르담의 꼽추

앵무새 죽이기

영어 단어 내려다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