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Fugue

바로크 음악

Image
Baroque Music(1600-1750) for More Readings; www.beethovennote.com  ~~~~~~~~~~~~~~~~~~~~      사람이 있는 곳에는 어느 곳이나 음악이 있어 왔다. 그러나 예술로서의 음악은 귀족이나 부자 등 상위 2~3%의 사람들과 관련을 맺고 있다. 앞선 시대와 마찬가지로 바로크 시대에도 음악은 교회를 위해 작곡되었고, 이들 교회는 상류계급이나 왕들을 위한 곳이었다. 수도원이나 수녀원 역시 음악의 후원자였다. 이 시대에는 또한 과거보다 예술 음악이 널리 전파되고, 세속적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진전이 이루어진 시대이기도 하다.      먼저 바로크 시대의 국가의 권력과 부는 가톨릭교회보다 상대적으로 컸다. 가톨릭 교회는 또한 종교개혁으로 프로테스탄트보다 위축된 시기이기도 했다. 따라서 권위를 회복할 어떤 수단이 필요했고, 음악과 미술이 그 역할을 담당했던 것이다. 또 1501년 처음으로 악보가 인쇄되어, 이제 더 이상 음악이 소수의 훈련된 전문 그룹(교회)만의 전유물이 아니게 되었다. 교회를 벗어난 일반인도 훈련을 받으면 음악활동을 할 수 있었다. 세속 음악 역시 널리 퍼져나갔다. 값이 매우 비쌌던 악보는 18세기 중엽까지 음악을 보존하고 전파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계속했다.      세 번째로는 왕이나 대도시에 부와 권력이 집중된 점이다. 이는 새로운 음악 양식이 등장을 가능케 하였다. 이에 따라 소나타, 협주곡, 교향곡, 오페라 등 새운 양식의 음악이 등장한다 ( https://www.beethovennote.com/2020/06/baroque.html ).  엄청난 비용이 든 오페라의 등장은 바로크의 등장과 동의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페라 제작이나 공연을 위한 장소는 엄청난 돈을 필요로 했고, 이는 왕이나 귀족의 후원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소군주들도 왕을 흉내 내어 음악과 음악 시설에...

바로크

Image
      Baroque ~~~~~~~~~~      예술사적으로 바로크 시대는 대략 17세기 초부터 18세기 중엽까지(1600~1750)의 기간을 말한다. 이 시기는 음악, 미술뿐만이 아니라 계몽주의 등장, 30년 전쟁 등 역사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시기였다. 바로크라는 어휘는 포르투갈어로 “비틀린 진주”라는 뜻으로 당초 경멸적인 뜻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많은 학자들이 오랜 동안 무시해왔던 말이었다. 18세기와 19세기 초에 이르러 평론가들이 바로크 예술작품을 비평하면서 이 용어가 역사에 등장하였다. 이러한 비판은 주로 이전 시대의 작품(특히 르네상스 작품들)과 비교하면서 바로크 작품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세월이 흐르면서 이러한 부정적 인식이 사라지고 이제 바로크라는 단어는 한 시대를 특정 짓은 어휘로 자리를 잡게 된 것이다     - 성 베드로 성당( 바로크 양식)-       17세기와 18세기 초에 걸쳐 유럽은 여러 나라들의 영고성쇠에 따라 많은 정치적인 지형이 바뀌기도 했다. 결혼을 통한 국가 간 동맹도 있었고 종교 분쟁, 특히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간의 30년 전쟁(1618~1648)을 비롯하여 신성로마제국(Holy Roman Empire)의 합스부르크가(Habsburg Family)와 그 적대 세력 간의 분쟁은 유럽의 안정을 해쳤음을 물론이다. 30년 전쟁의 결과 1648년 베스트팔리아 조약(the Treaty of Westphalia; 1648년)이 체결되었고, 오스트리아-항가리제국이 탄생하였다. 또 네델란드연합국(the Provinces of the Netherlands), 스웨덴, 프랑스의 세력이 확장된 반면 스페인, 덴마크는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 아울러 민족국가의 건설이 강조되기도 했다.      현대적인 국가 시스템의 등장이 전적으로 30년전쟁에서 비롯된 것은 아니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