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Opera

바로크 음악

Image
Baroque Music(1600-1750) for More Readings; www.beethovennote.com  ~~~~~~~~~~~~~~~~~~~~      사람이 있는 곳에는 어느 곳이나 음악이 있어 왔다. 그러나 예술로서의 음악은 귀족이나 부자 등 상위 2~3%의 사람들과 관련을 맺고 있다. 앞선 시대와 마찬가지로 바로크 시대에도 음악은 교회를 위해 작곡되었고, 이들 교회는 상류계급이나 왕들을 위한 곳이었다. 수도원이나 수녀원 역시 음악의 후원자였다. 이 시대에는 또한 과거보다 예술 음악이 널리 전파되고, 세속적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진전이 이루어진 시대이기도 하다.      먼저 바로크 시대의 국가의 권력과 부는 가톨릭교회보다 상대적으로 컸다. 가톨릭 교회는 또한 종교개혁으로 프로테스탄트보다 위축된 시기이기도 했다. 따라서 권위를 회복할 어떤 수단이 필요했고, 음악과 미술이 그 역할을 담당했던 것이다. 또 1501년 처음으로 악보가 인쇄되어, 이제 더 이상 음악이 소수의 훈련된 전문 그룹(교회)만의 전유물이 아니게 되었다. 교회를 벗어난 일반인도 훈련을 받으면 음악활동을 할 수 있었다. 세속 음악 역시 널리 퍼져나갔다. 값이 매우 비쌌던 악보는 18세기 중엽까지 음악을 보존하고 전파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계속했다.      세 번째로는 왕이나 대도시에 부와 권력이 집중된 점이다. 이는 새로운 음악 양식이 등장을 가능케 하였다. 이에 따라 소나타, 협주곡, 교향곡, 오페라 등 새운 양식의 음악이 등장한다 ( https://www.beethovennote.com/2020/06/baroque.html ).  엄청난 비용이 든 오페라의 등장은 바로크의 등장과 동의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페라 제작이나 공연을 위한 장소는 엄청난 돈을 필요로 했고, 이는 왕이나 귀족의 후원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소군주들도 왕을 흉내 내어 음악과 음악 시설에...

카스트라토

Image
        Castrato   -- 고자 가수 -- for More Readings: www.beethovennote.com ~~~~~~~~~~        “카스트라토”는 음악사에서 불멸의 자취를 남긴 가수들이다. 이들은 소프라노(때로는 콘트랄토)목소리를 냈던 남자 가수들로, 타고났거나 아니면 외과적인 수술로 고환을 제거함으로서, 어른의 폐활량에 어린이 목소리를 낼 수가 있었다. 오페라는 일종의 연극이기 때문에 이야기가 있고, 따라서 남녀가 등장하게 마련이다. 여성이 오페라에서 노래를 부를 수 있게 된 것은 바로크 시대에 들어와서이다. 그러나 바로크 초기에는 여성이 대중 앞에서 노래를 부른다는 것은 천박스러운 일로 여겨졌다. 따라서 여성을 대역할 남자, 즉 여성의 음역을 갖춘 남자 가수가 필요했던 것이다.     “카스트라토”는 사춘기가 되기 전 거세를 했다. 따라서 성년이 되어도 목소리가 변하지 않아, 고음의 투명한 어린이 목소리, 즉 여자 목소리를 낼 수가 있었다. 이들은 처음, 여성들이 노래를 부를 수 없었던 교회에서 노래를 불렀고, 로마교황청도 이들을 고용하여 성가를 부르게 했다. 그 후 오페라가 등장하면서 극중 여성 인물을 대신하게 된 것이다. “카스트라토”는 18세기에 전성기를 구가함으로써, 부와 명성을 얻기도 했다. 그들의 화려하고 빛나는 목소리를 들을 때면 청중들은 “작은 고추 만세”를 외쳤다고 한다. 성악 사에 빛나는 자취를 남긴 “카스트라토”들은 다음과 같다.       -Senesino(1680~1759): 본명 '프란시스코 베르나디'. '세네시노'는 그의 고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