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고도를 기다리며

Image
       Waiting for Godot         by   Samuel Beckett    <Synopsis> ~~~~~~~~~~ 등장인물: 블라디미르 Vladimir;      두 주인공 중 한 사람. 두 인물 중 보다 책임 있고, 성숙한 인물. 에스트라곤 Estragon;      두 주인공 중 한 사람. 고고로 불리기도 하는 인물. 연약하고 절망적인 인물로 블라디미르의 보호를 필요로 하는 사람. 기억력이 빈약한 남자. 포조 Pozzo;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곤이 있는 장소를 지나가며 그들과 대화를 나누는 인물. 제2막에서는 장님으로 등장하나,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곤을 만난 사실을 기억하지 못하는 인물. 럭키 Lucky;      포조의 짐을 운반하는 포조의 노예. 제2막에서는 벙어리가 되어 등장함. 소년 Boy;      전령. 제1막에서 고도가 오지 않으리라는 걸 알리는 소년. 제2막에서는, 그 전날 그곳에 오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인물. 고도 Godot;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곤이 무한정 기다리는 사람. 무대에는 등장하지 않는, 신을 생각하게 하는 인물. ~~~~~~~~~~~~~~~~~~ 제I막:      에스트라곤이 장화를 벗으려고 할 때 블라디미르가 등장한다. 두 사람은 인사를 나누고, 블라디미르는 모자를 에스트라곤은 장화를 점검한다. 그들은 복음서 상의 두 도적 즉, 예수님과 함께 십자가에 매달린 두 도적 Dismas와 Gestas에 관한 이야기를 한다. 블라디미르는 그 이야기가 여러 가지로 말해지고 있고, 그 가운데 한 이야기가 다른 이야기들보다 더 정확하다는 말에 의아해 한다.      에스트라곤는...

이신론理神論

Image
 이신론 ~~~~~~~~~  Deism      현대문명은 이성의 산물이다. 우리의 주변을 살펴보면 민주주의라는 관념적인 것으로부터 구체적인 전등불에 이르기까지 이성의 산물이 아닌 것이 없고, 이를 부정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다음은 이성과 관련한 이야기이다.      유럽 여행을 한 우리 동네 목사님의 여행 후일담을 위한 자리가 있었다. 여행 중 여러 성당과 교회를 방문했고, 너무나 실망이 컸다고 했다. 으리으리한 성당과 교회들이 그처럼 즐비했지만, 미사나 예배 행사에 신도 수가 적고 썰렁하더라는 것이다. 그처럼 신앙이 시들었으니 하느님이 은총을 거두시어, 유럽이 쇠락해가는 거라고 했다. 과연 그럴까? 세례 가톨릭인 나는 한참을 망설이다가,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해드렸다.      유럽 교회의 쇠락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라, 이백 년쯤 전부터의 일이다. 프랑스 대혁명(1789)을 계기로, 그릇된 왕정들이 몰락하였음은 물론 강압적인 가톨릭과 성직제도, 그릇된 도덕, 신학도 모두 함께 붕괴되었음은 물론이다. 그렇다고 해서 유럽인들이 신을 완전히 부정한 것은 아니었다.      루쏘(Jean J. Rousseau, 1712~1778)의 “에밀”을 읽은 이들은 이 책 제4부에서 "자연종교" 라는 용어가 등장함을 안다. 자연종교는 18세기 유럽 기독교 신앙체계를 위협했던 것으로 이신론(Deism)의 다른 말이다. 이신론이라는 용어는 이신론의 아버지 셔베리 (Herbert of Cherbury, 1699~1655)의 저서 “진리에 관하여(De Veritate)"에 처음 등장하는 말로 후일 계몽주의자들은 그의 가르침을 토대로 종교운동을 전개한다. 종교운동이기는 하지만 전통적인 가톨릭이 아닌 ”자연법칙에 토대한“ 이신론 운동이었다. 사진 삭제      - 루쏘 -      이신론은 두 가지 생각에 토대했...

음악과 혁명

Image
    Music and Revolution <beethovennote.com>  ~~~~~~~~~~~~      음악은 사람의 마음을 가라앉히기도 하지만 격앙을 시키기도 한다.      앙드레 그레트리(Andre Gretry, 1741-1813)의 오페라 “사자왕 리처드” 에 등장하는 아리아 “오 나의 군주, 리처드” 는 프랑스 혁명 발발에 일조를 한 노래다. 오페라에서는 왕의 음유시인 브론델(Blondel)이 포로가 된 리처드를 슬퍼하며 이 노래를 부른다. 오페라는 혁명 5년 전인 1784년 파리에서 초연되어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다. 1788년 루이 16세의 왕비인 마리 앙트와네트가 베르사이유궁 수비대 장교의 파티에 참가하여 이 노래를 불렀고, 이를 계기로 이 노래는 루이 16세를 지지하는 왕당파의 애국가가 되다시피 했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파리 시민들이 격노하여, 베르사이유로 몰려가 왕의 가족들에게 파리로 돌아갈 것을 요구했고, 왕은 이 요구를 받아들여 파리로 돌아갔고, 결국은 파리에서 기요틴으로 목이 날아간다. https://www.youtube.com/watch?v=iYMKTPiWrcU&ab_channel=bejun           -  프랑스 혁명 -      다니엘 아우버(Daniel F. Auber, 1782 1871)의 오페라 "마사니엘로(Masaniello)"는 "포르티치의 벙어리 소녀(La Muette de Portici)" ,라는 또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다. 두 개의 제목을 가진 오페라인 것이다. 이 오페라는 1828년 파리에서 처음 공연이 되었다. 이 오페라의 주제는 1647년 스페인 점령군에 대한 나폴리 시민들의 저항을 그린 것이다. 이 오페라가 당시 화란의 지배하에 있었던 브럿셀에서 공연이 되었고, 이를 본 시민들의 ...

심판

Image
      Der Prozeß           by Franz Kafka <Synopsis> ~~~~~~~~ 주제 : 자신에게 혐의가 씌워진 범죄에 대해 호소할 곳도 호소할 수도 없는 관료적인 법제도에 관한 저항.  등장인물 : 요세프 K Joseph K;      소설의 주인공. 은행 주임. 야심만만하고 날카로운 인물. 성공을 위해 달려가던 중 어느 날 아침, 아무런 이유 없이 체포 당하는 인물. 권위적인 법원과 보이지 않는 법에 호소하려 애를 쓰나 절망 속에 결국 죽음을 당하는 남자. 뷔르스트너 Fraulein Bürstner;      K와 같은 집 하숙생. K에게 키스를 허락하나 곧 내침. 소설 끝 무렵 잠깐 등장하는 인물. 그루바하 부인 Frau Grubach;      K의 하숙집 여주인. K를 아끼는 인물. 칼 Uncle Karl;      K의 숙부 겸 보호자. K에게 변호사의 도움을 권하는 인물. 훌트 Huld, the Lawyer;      호언장담하는 K의 변호사. 별 가치 있는 변호 활동을 하지 않는 인물. 레니 Leni;      훌트의 간호사. K 문제로 해고를 당하고 K의 연인. 은행 대리;      K의 경쟁자. K를 따라잡으려는 인물. 블록 Block;      훌트를 변호인으로 선정한 피의자. 5년에 걸친 송사로 재산을 탕진하고 망한 남자. 변호사에게 얽매어 꼼짝을 못하게 된 인물. 티토렐리 Titorelli;      화가. 하급 법원의 생태를 잘 아는 남자. K를 도울 테니 그림을 사 달라는 인물. ~~~~~~~~~~~        ...

페미니즘

Image
   Feminism ~~~~~~~~~~       유사 이래 여성은 제2의 성으로, 그들의 영역은 가정에만 국한되어 왔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서구 사회에서 여성의 종속적 지위에 관련된 법이 법전에서 사라지기 시작한 것은 150년 정도에 불과하다.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150년 전의 여성은 교육을 받을 기회도 없었고 직업을 갖기도 힘들었다. 여성이 사업을 한다든가 재산을 소유한다는 것도 부적절 하다는 것이 지배적인 생각이었다. 선거권, 피선거권이 없으니 선출직에의 진출도 당연히 불가능했다.      여성과 남성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평등이라는 페미니즘Feminism은 비교적 최근의 현상이다. 과거에는 당연시되었던 여성 차별 관행은, 적어도 서구사회에서는 더 이상 받아들여질 수 없다는 사실은, 지난 두 세기에 걸쳐 페미니스트 운동이 이루어낸 위대한 업적이다. 그러나 성 평등의 실현이라는 과업은 아직도 진행 중에 있다. 많은 제도적 차별이 제거되긴 했지만, 오랜 세월에 걸쳐 뿌리를 내려, 깨닫지 못하고 있는 관행들이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 여성들은 많은 부분에서 편견과 무시를 당하고 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차별(Glass Ceiling)"은 물론 상대적인 저임금, 가정과 사회에서의 여성의 역할과 능력에 대해 말도 안 되는 억측들이 남아 있다.         페미니즘 심볼 제1차 물결: 투표권 획득      르네상스 기간 중에도 유럽에서는 오랜 기간 여성의 권리에 관한 논쟁이 있었지만, 여성은 경박하고 열등하다는 식의 논리에 반박하는 정도의 수준에 불과한 별 효과가 없는 논쟁이었다. 영국에서 이 전례 없던 논쟁에 불을 붙인 인물은 월스톤크래프트(Mary Wollstonecraft,1759–1797)이다. 마리 쉘리(Mary Shelley, 1797-1851; 프랑켄슈타인의 저자)의 어머니였던 그녀는 “페티코트를 ...

마라톤

Image
  Marathon(490 BC)     전투  ~~~~~~~~~   0 전투 당사자: 그리스와 페르시아      마라톤 평야가 내려다 보이는 고지에서 칼리마쿠스(Callimachus; 마라톤 전투 당시 그리스 장군)가 페르시아 군을 관찰하고 있었다. 예상한 대로 적군은 대규모 기병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궁수와 창을 든 병사도 많았다. 그러나 넓은 지역에 흩어져 있어 그 수를 가늠하기가 어려웠다. 그가 지휘하는 군대는 아데네인 1만명, 프라테아인(Platea: 그리스 여러 도시 국가들 가운데 하나) 1천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페르시아 보병은 장비도 좋지 않고 특히 그 창의 길이가 짧았다. 그러나 페르시아 군대 힘은 바로 창과 활로 무장한 기병에 있었다. 마라톤과 같은 평야는 기병 작전에 매우 효과적이었던 반면, 그리스 군에게는 두려운 지형이었다. 페르시아군이 아테네로부터 이틀간의 행군을 필요로 하는 이곳을 선택한 이유는 바로 평야이기 때문이었다. 아테네로서는 만일 스파르타 지원군이 보다 일찍 도착할 수 있다면, 지원군이 모두 보병일지라도 그들과 힘을 합하여 야만인 페르시아군을 모조리 바다로 몰아낼 수가 있었다.        마라톤 평야      그리스군은 스파르타의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달리기를 잘하는 전령 페이디피데스Pheidipides를 보냈다. 스파르타는 돕겠다고 했지만 종교적 축제 때문에 출발이 늦어질 것이라고 했다. 한편 아테네와 플라테아 동맹군은 마라톤 평야 주변의 산을 장악하고 있었다. 아테네군을 지휘하는 열 명의 장군들은 산을 지킬 것인지 아니면 공격을 할 것인지를 놓고 의견의 일치를 못하고 있었다. 칼리마쿠스Callimachus는 지휘관이지만 의사결정에서는 한 표만 행사할 수 있었다. 전투 중 야전군 사령관 직은 장군들 사이에 돌아가며 맡았고, 사령관은 하루만 전군을 지휘할 수가 있었다. 장군 중 한...

등대로

Image
    To the Lighthouse        by   Virginia Woolf   <Synopsis> ~~~~~~~~~ 주제 : 삶의 덧없음. 보존 수단으로써의 예술, 현실에 대한 개인이 주관적 특성 등 등장인물 : 램지 부인 Mrs. Ramsay;      스카이 섬에 있는 가족 별장으로 손님을 초대, 기억에 남는 경험을 하도록 하는 아름답고 사랑하는 마음이 충만한 여인. 의무감 강한 아내이나 때로는 남편과 충돌하는 인물. 사소한 일도 의미를 가지게 하는 능력을 가진 여인. 램지 Mr. Ramsay;      램지 부인의 남편. 철학 교수. 가족을 사랑하나 전제적 성품으로, 명성과 명예에 집착하는 인물. 특히 자신의 저서가 인기를 잃고 후세대에 의해 잊혀지지 않을까 두려워하는 남자. 좋은 가정을 가진 은총 받은 자신이라는 걸 알면서도 아내와 아이들을 혼내고, 초대한 손님들로부터도 관심과 지지를 받기 원하는 인물. 릴리 브리스코 Lily Briscoe;      독신의 젊은 여류화가. 램지 네 친구. 램지 씨처럼 자신의 그림에 대한 세인의 평가에 강박관념을 가진 인물. 제임스 James Ramsay;      램지네 막내아들. 어머니를 사랑하나 아버지를 증오하는 아이. 여섯 살 때 등대로 가고 싶은 뜻이 아버지에 의해 좌절되나, 10년 후 등대를 방문하면서 아버지와 화해하는 인물. 폴 레일리 Paul Rayley;      램지네 인척. 친절한 젊은이로, 램지 부인이 민타 도일과 중매를 맺어주는 인물. 민타 Minta Doyle;      폴과 결혼하는 변더스러운 여인. 챨스 탠스리 Charles Tansley;      젊은 철학자로 램지 씨의 제자. 릴리처럼 능력 있는 여성을 ...